책소개
≪유마경≫의 성립 연대는 확실하지 않지만 대개 1∼2세기경으로 추정된다. 경의 주인공인 유마힐은 ‘Vimalakīrti’의 음역으로 ‘깨끗한 이름(淨名)’ 또는 ‘때 묻지 않은 이름(無垢稱)’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이 경의 또 다른 이름인 ≪불가사의해탈경(不可思議解脫經)≫은 제14장 ‘위촉품’에서 부처님이 아난에게 “이 경을 불가사의 해탈문이라고 이름한다”라고 한 것에 근거해서 붙여진 경명이다. 이 경의 내용이 상식이나 이론적인 입장을 초월한 불가사의한 종교적 체험의 경지를 서술하고 있기 때문이다.
≪유마경≫은 재가의 거사인 유마힐을 중심인물로 내세워 출가중심주의의 형식적인 부파불교를 신랄하게 비판하고 대승불교의 진의를 드러내고 있다. 유마거사는 세속에 있으면서도 대승의 보살도를 성취하여 출가자와 동일한 종교 이상을 실현하며 살고 있었다. 유마거사는 방편으로 병이 들었는데, 문병 오는 사람에게 설법하는 것이 목적이었다. 석가모니 부처님은 이러한 사정을 알고 제자들에게 유마거사의 병문안을 갈 것을 명하였지만, 일찍이 유마거사로부터 힐난을 들은 적이 있는 제자들은 병문안 가는 것을 극구 사양한다. 유마거사는 비록 세속에 있지만, 대승의 가르침을 자각하였기에 10대 제자들과 보살들이 그를 상대할 수 없었던 것이다.
마침내 문수보살이 부처님의 명을 받아 유마거사의 병문안을 가게 된다. 두 사람은 유형적, 상대적인 것에 얽매이지 않고 자유자재로 대화한다. 유마거사는 기존의 출가중심의 불교에 대한 비판을 통해 당시 불교의 문제점을 비판, 지적하고 있다.
200자평
대중구제를 소홀히 하고 자기 이익만 중시하던 부파불교를 비판한 대승불교의 경전이다. 이 책은 전통적으로 가장 많이 읽히고 있는 구마라습의 번역본을 토대로 하였다. <유마경>은 누구나 보살이 될 수 있고, 누구나 깨달음을 얻을 수 있다고 말한다. 병든 유마힐과 문병 온 부처의 제자들의 대화로 이야기가 전개된다.
옮긴이
대구에서 출생하여 영남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석사, 박사과정을 수료한 후 <여래장(如來藏) 사상에 관한 연구>로 철학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 대구한의대학교에 재직 중이다. 주요 저서로는 ≪인도철학사≫(이문출판사, 1995), ≪여래장≫(이문출판사, 1997), ≪삼국유사의 종합적 연구≫(공저: 박이정, 2002), ≪불교사상과 문화≫(세종, 2003), ≪한의 학제적 연구≫(공저: 철학과 현실사, 2004), ≪종교의 이해≫(학진출판사, 2005), ≪현대인의 윤리학≫(학진출판사, 2005), ≪정신치료의 철학적 지평≫(공저 : 철학과 현실사, 2008) 등이 있다.
차례
해설
불국품(佛國品)
방편품(方便品)
제자품(弟子品)
보살품(菩薩品)
문수사리문질품(文殊師利問疾品)
부사의품(不思議品)
관중생품(觀衆生品)
불도품(佛道品)
입불이법문품(入不二法門品)
향적불품(香積佛品)
보살행품(菩薩行品)
옮긴이에 대해
책속으로
유마힐이 말하기를, 어리석음으로 인한 애착이 있어 나에게 병이 생겼습니다. 일체중생이 병이 들었기 때문에 나도 병이 들었습니다. 만약 일체중생에게 병이 없어지게 되면 나의 병도 없어질 것입니다. 왜냐하면 보살은 중생들을 위하여 생사에 들어가기 때문입니다.
-79쪽
사리불이여, 무릇 법을 구하는 자는 부처에 집착해서 구해서도 안 되며, 법에 집착해서 구해서도 안 되며, 승가에 집착해서 구해서도 안 됩니다. 무릇 법을 구하는 사람은 괴로움(苦)을 보는 것을 구하지 않고, 괴로움의 원인(集)을 끊는 것을 구하지 않고, 증득함을 다하여 도를 닦는 것을 구하지도 않습니다. 왜냐하면 법은 희론(戱論)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91~92쪽